![]() |
심은보 에이아이메딕 대표가 포즈를 취하고 있는 모습 (사진=에이아이메딕) |
[이데일리 김승권 기자] 국내 기업 에이아이메딕(AI Medic)이 글로벌 심혈관 인공지능(AI) 진단 시장에서 선도적 지위 확보를 위해 도전장을 내밀었다. 미국 하트플로우가 독점해온 CT-FFR(비침습 혈류역학 분석) 시장에 세계 두 번째로 진입한 이 회사는 하트플로우를 뛰어넘겠다는 야심찬 목표를 표방하고 있다.
심은보 에이아이메딕 대표는 최근 팜이데일리와의 인터뷰에서 자사의 AI 기반 심혈관 진단 기술이 하트플로우 대비 뚜렷한 차별화 포인트를 갖고 있다며 자신감을 내비쳤다. 대만 등 동아시아와 유럽을 먼저 공략한 후 미국에서 하트플로우와 격돌하겠다는 계획이다.
비슷한 모델의 경쟁자인 하트플로우는 2025년 8월 나스닥에 상장하며 AI 심장진단 분야의 상용화 성공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2024년 매출 1억 2580만 달러로 전년 대비 44.3% 증가했으며, 2025년 1분기에도 3720만 달러를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38.6% 성장했다. 상장 이후 시가 총액은 약 4조원까지 늘었다.
하트플로우의 핵심 기술은 심장 관상동맥을 3D로 시뮬레이션하여 비침습적으로 혈류역학을 분석하는 FFR-CT(Computed Tomography-derived Fractional Flow Reserve) 기술이다. 고비용이고 위험을 수반하는 기존의 침습적 심장 카테터 검사를 대체할 수 있는 혁신적 솔루션으로, 현재까지 40만 명 이상의 글로벌 환자 진단에 활용되고 있다.
상장을 통해 3억 1670만 달러를 조달한 하트플로우는 약 4억 2000만 달러의 사용 가능 현금을 확보해 최소 6-8년간의 운영 자금을 마련했다.
에이아이메딕은 이 회사와 비교해도 경쟁력이 있다고 했다. 심 대표가 하트플로우와의 경쟁에서 자신감을 보이는 가장 큰 이유는 온사이트(On-site) 방식의 완전 자동화 기술 때문이다. 심 대표는 “하트플로우는 클라우드에 데이터를 보내서 사람이 개입하는 반자동 방식으로 2~6시간이 걸리지만, 우리 기술은 병원 내에서 완전 자동으로 15분 내에 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하트플로우의 경우 병원에서 CT 영상을 클라우드에 업로드하면 본사에서 전문가가 분석한 후 다시 병원으로 결과를 전송하는 방식을 취한다. 이 과정에서 환자 데이터가 외부로 나가면서 보안상 우려가 제기되고, 처리 시간도 길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 에이아이메딕의 ‘하트메디플러스’는 병원 내 컴퓨터에 설치만 하면 AI와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즉석에서 분석이 가능하다.
심 대표는 “특히 유럽 시장의 경우 클라우드 액트법 때문에 하트플로우가 진출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우리의 온사이트 솔루션은 이런 규제 환경에 구애받지 않아 유럽 진출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에이아이메딕은 현재 프랑스에서 CE-MDR 인증 절차를 진행 중이며, 내년 상반기 중 승인을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