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여백

제사지내는절차


가. 강신(降神)

  강신은 신위께서 강림하시어 음식을 드시라고 청하는 의식으로 향(香)을 피우고 술을 잔에 따라 모사(茅沙)에 붓는 것을 말한다. 향을 피우는 것은 위에 계신 신을 모시고자 함이고 술을 따르는 것은 아래에 계신 신을 모시고자 함이다.

  제주와 참사자 모두 차례로 선 뒤에 제주가 신위 앞에 꿇어 앉아 분향하고 일어나서 두번 절한다. 다시 꿇어 앉아 우집사가 잔을 내려 제주에게 건네고 술을 조금 따르면 제주는 모사 위에 세 번에 나누어 붓고 빈 잔은 집사에게 주고 일어나서 두 번 절한다.


나. 참신(參神)

 참신은 신위께 참배한다는 뜻으로 제주와 모든 참사자가 두 번 절한다. 신주를 모시고 있을 때는 참신을 한 다음에 강신의 순서로 한다.


다. 초헌(初獻)

 제주가 신위 앞에 꿇어 앉아 좌집사가 잔을 제주에게 주면 우집사가 잔에 술을 가득 부어 준다. 양 손으로 받들어 집사에게 주면 집사는 받아서 올린다.

 합사일 경우에는 먼저 고위(考位)에 올리고 두 번째 잔을 비위(妣位)에 올린다.

 집사가 잔을 내려 제주에게 건네면 제주는 모사그릇(묘제일 때는 잔디)에 세 번에 나누어 잔을 따르고 절반 정도를 남겨 다시 올린다.

 우집사가 육적을 건네면 제주는 양 손으로 받들어 좌집사에게 주며 집사는 술잔 앞에 올린 후 메(밥)와 갱(국) 그릇의 덮개를 열고 수저를 수저그릇 위에 가지런히 올려놓는다.


라. 독축(讀祝)

 제주와 모든 참사자가 꿇어 않고 축관이 제주의 좌측에 앉아서 엄숙한 목청으로 천천히 크게 축을 읽는다. 조금 있다가 모두 일어나며 제주는 두 번 절한다.


마. 아헌(亞獻)

 제주의 다음가는 근친자가 두 번째 잔을 올린다.

 계적을 양 손으로 받들어 올린 후 일어나서 두 번 절한다.


바. 종헌(終獻)

 아헌자의 다음가는 근친자가 세 번째 잔을 올린다.

 어적을 양 손으로 받들어 올린 후 일어나서 두 번 절한다.


사. 첨작(添酌)

 첨작은 유식(侑食)이라고도 하는데 제주가 다시 신위 앞에 나아가 술 주전자를 받아들고 술잔에 세 번에 나누어 채운다.


아. 삽시(揷匙)

 메 그릇에 수저를 꽂는 것으로 ‘삽시정저(揷匙正箸)’라고 한다.

 제주가 수저 바닥이 동쪽으로 향하게 꽂고 돌아와서 두 번 절한다.


자. 합문(闔門)

 참사자 모두 방에서 나와 문을 닫는 것을 ‘합문’이라 한다. 대청일 경우에는 뜰아래로 내려와 조용히 3-4분(아홉 숟갈 먹는 시간) 기다린다. 부득이한 경우 또는 묘제(墓祭)시는 모두 제자리에 엎드린다.


차. 계문(啓門)

 문을 여는 의식을 말한다. 합문한 다음 잠시 있다가 제주가 기침을 세 번한 후 문을 열고 다 같이 들어간다.


카. 헌다(獻茶)

 갱(국)을 내려놓고 숭늉을 올린다. 그리고 메를 조금씩 세 번 떠서 숭늉에 말아 놓고 저(箸)를 고른다. 참사자 일동이 2-3분간 읍(揖)하고 있다가 기침을 하고 고개를 든다.


타. 철시복반(撤匙復飯)

 신위께서 제물을 다 잡수셨다고 생각되면 수저를 거두고 메 그릇의 뚜껑을 덮는 의식을 말한다.


파. 사신(辭神)

 신(神)을 전송하는 절차이다. 참사자 일동이 두 번 절한 후 신주는 사당으로 모시고 지방과 축은 불사른다.


하. 철상(撤床)과 음복(飮福)

 철상은 제물을 치우는 절차를 말하며, 음복은 조상께서 물려주시는 복된 음식이라는 뜻으로 참사자와 가족이 모여서 식사를 한다.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