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이조참판공(휘 은)행장

증이조참판공 휘 은 묘소
소재지: 김포시 통진면 옹정리 선영하


公諱檼字子高靑松卽貫也有諱洪孚始仕高麗爲文林郞衛尉寺丞寔公始祖也閤門祗侯諱淵吏曹正郞 贈靑華府院君諱龍卽公世祖也靑華生諱德符位侍中靑城伯入我 朝仍其爵靑城生諱溫位領議政諡安孝公實誕我 昭憲王后爲 國尊舅安孝生領議政恭肅公澮恭肅生判官湲判官之嗣曰順門議政府舍人舍人之嗣曰連源領議政諡忠惠公忠惠之胤曰鋼又以 仁順王后之考封靑陵府院君領敦寧府事於公爲高祖也曾祖義謙官至大司憲靑陽君以淸名諒節爲 明宣間良臣祖諱 玉果縣監 贈領議政靑川府院君繼伯父溫陽郡守諱仁謙後入主宗祀考諱光世登辛丑大科官至弘文館應敎 贈吏曹參判妣黃氏籍檜原行戶曹判書諡文敏號秋浦諱愼之女兵曹正郞大受之孫也以萬曆乙未生公公生而天資明秀氣節高淸自在幼穉時文藝夙就典刑老成年甫十六中庚戌司馬出遊上舍一時士類爭與之交而其中李白洲明漢李延城時昉金承宣徠至結通家之好而莫逆焉其居家行誼接人談論有若玉潔而霜凜自有耿介拔俗之標人不覺愛而敬焉咸以爲靑紫之貴若摘頷而異日玉立朝端正直方剛者必此人也不幸遇時不淑光海昏亂羣奸柄
國幽廢母后戕害善類癸丑延興之獄必欲網打一時應敎公以一代名類顯揚而且仲弟縣監公曾贅延興之門以此慘被株連竟殞於桁楊之下又欲甘心於應敎公而未淂其罪勒加竄逐於固城者十有餘年秋浦公亦連此獄餘波不免慘禍而幸得脫出竄配瓮津者五年竟病瘴而歿內外家禍至此孔酷而公之世念己絶矣擧家南下僑接于應敎公謫所爲侍側計應敎公愍其誠孝而亦慮其土崇從容面諭曰我是罪人雖死於瘴癘無所規避若無辜子孫幷被水土之害則義甚無謂汝可卜築於稍近善地而往來省覲是亦養志之一道云云公不獲己移寓於昌寧縣尋改卜密陽之安泰村而定其居身自往來于固城瓮津之間而省覲焉嶺海數千里之路積年跋涉之勞自不覺其潛消暗鑠而風露之感己深矣亥改玉之初應敎公首膺環召公亦慘從勳庶幾小展蠖屈之蹟而又値家禍未艾應敎公以還
朝之明年甲子省墓于嶺南適病瘍而聞适賊之叛輿曳奔問而疾革於扶餘旅館巨創欒棘之餘疾瘛大作經年况綿竟致不諱實丙寅六月十四日也得年僅三十二
朝廷贈爵地部卽以賁盖公於  仁廟屬籍至近而自在  潛邸熟熟公可大用故惜其夭而施以不食之報也先是卜得新兆於嶺南之靈山縣奉厝玉果公夫人及應敎公兩位故公之喪亦自京第靷窆于靈尋于還封先兩位于舊山而公之墓獨留嶺表歲丙午始反葬于先塋艮坐之原而夫人合祔墓焉夫人姓趙氏籍漢陽高麗太史岑之後知事
贈諡昭敏公諱存性之孫學生諱宗遠之女於  莊烈王后從娣兄也妣金氏籍光州高麗大姓某之裔光川尉仁慶之孫郡守虎秀卽考也以萬曆壬辰生夫人夫人生以失所怙獨依金夫人育於昭敏公膝下及長歸公淑德懿行出自天賦滫瀡之供蘋蘩之奉深得冢婦之道而大爲一家之所稱歎俄値舅家險巇之厄奔竄流徒與共艱危者殆十餘年而崩地之痛又纆於復見天日之初㷀然在疚嘗貼床褥不以人世爲樂者二十五年庚寅十二月二十日竟見棄世壽五十九育男女八人男長若海察訪次若溟監察次若湖早卒無后女長適僉樞李碩蕃次適學生李命寬次適學生金球次適縣監林世喬次適牧使呂台齊亦無嗣以侄子必寬爲后郡守之子曰胄賢澈賢瀷之子曰鼎賢重賢元賢有賢聚賢明賢澳无后以涑之子最賢爲后涑之子曰啓賢宅賢夢賢得賢泰賢滌無嗣女子之適人者多不可盡錄內外曾玄總若干公之沒今七十餘年世故多端尙闕旌墓之文不肖孫滌恐兪久而泯沒略記所聞於家庭者仰溷於立言之君子而冀其一言之賜云爾
不肖孫 瀷 謹狀   

14세조 증이조참판 휘 은(檼) 행장
公의 휘(諱)는 은(檼)이요 字는 자고(子高)이며 청송은 본관이다. 휘 홍부(洪孚)가 비로소 고려에 벼슬하여 문림랑 위위시승(文林郞衛尉侍丞)이 되었으니 이 분이 공의 始祖요, 합문지후(閤門祗侯)는 휘 연(淵)이시고 이조정랑이고, 청화부원군(靑華府院君)에 봉군된 휘 용(龍)은 공의 世祖이다. 청화부원군이 휘 덕부(德符)를 낳으니 벼슬이 시중(侍中)이요, 청성백은 조선조에 들어와 받은 작호(爵號)이다. 청성백이 휘 온(溫)을 낳으니 벼슬이 영의정이요, 시호가 안효공(安孝公)이며 우리 소헌왕후를 낳아서 국구(國舅)가 되었다. 안효공이 영의정 공숙공 휘 회(恭肅公 諱 澮)를 낳았고, 공숙공이 판관 휘 원(判官 諱 湲)을 낳았으며, 판관의 아들은 휘 순문(順門)이니 의정부사인(議政府舍人)이요 사인의 아들은 휘 연원(連源)이니 영의정이며 시호가 충혜공(忠惠公)이요, 충혜공의 아들은 휘 강(鋼)이니 또 인순왕후를 낳아 청릉부원군에 봉해지고 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가 되었으니 공의 高祖요, 증조 의겸(義謙)은 벼슬이 대사헌이요 청양군(靑陽君)이며 청렴하고 어진 절개로 명종 선조연간에 어진 신하가 되었고 할아버지 휘 엄()은 옥과(玉果)현감이며 영의정 청천부원군(靑川府院君)에 증직되고 백부(伯父) 온양군수 휘 인겸(仁謙)에게 出系하여 종손(宗孫)이 되었다.
아버지의 휘는 光世니 辛丑年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이 홍문관 응교(弘文館 應敎)요 이조판서에 증직되었다. 어머니는 회원 황씨(檜原黃氏) 호조판서 문민공(文敏公) 추포(秋浦) 신(愼)의 딸이요 병조정랑 대수(大受)의 손녀로 만력(萬曆) 乙未年에 공을 낳으니 공은 나면서부터 타고난 용모가 밝고 빼어났고 기개와 절조가 높고 깨끗하여 어릴 때로부터 문학이 일찍 성취되어 모든 행위가 어른과 같았다.
나이 겨우 16歲에 庚戌年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여 성균관에 나가 학문을 연구하니 그때의 선비들이 다투어 새기었고 그 중에서도 백주 이명한(白洲李明漢)과 연성 이시방(延城李時昉)과 승선 김래(承宣 金徠)는 절친한 사이여서 서로 허물없이 지냈다.
집에서의 행의(行誼)와 사람을 대하여 이야기하는 것은 옥과 같이 깨끗하고 서리처럼 늠름하여 절조(節操)를 굳게 지켜 세속(世俗)과 구차스럽게 화합하지 않는 표본(標本)이 되니 사람들이 저절로 사랑하고 공경하여 모두가 말하기를 높은 지위에 올라 얻기 어려운 보물을 손에 넣을 것이며 뒷날 아름답게 조정(朝廷)에 서서 정직하고 굳게 절개를 지킬 사람은 반드시 이 사람이다 하였는데 불행히 좋은 때를 만나지 못하여 광해조의 혼란할 때 여러 간신들이 국권(國權)을 잡아 인목대비(仁穆大妃)를 유폐(幽廢)시키고 착한 선비들을 죽이며 광해군 癸丑年 인목대비의 아버지 연흥부원군 김제남(延興府院君金悌男)의 옥사(獄事)에 반드시 일망타진(一網打盡)하려고 하니 그때 응교공은 유명한 분으로 이름이 드러났고 또 중제(仲弟) 현감공은 일찍이 연흥부원군의 사위가 되어 이것으로 형구(刑具)밑에서 참화(慘禍)를 당하였다. 또 응교공에게 거짓 심복(心腹)인체 하였으나 그 죄를 벗지 못하고 강제로 고성(固城)에 귀양보낸지 10여년이 되었다. 추포공이 또한 이 옥사의 여파(餘波)에 연루되어 참화를 면치 못하게 되었으나 다행히 탈출(脫出)하여 옹진(瓮津)에 귀양한지 五年만에 열병으로 죽었으니 내외(內外)의 가화(家禍)가 이렇게 혹심하여 공의 세상 생각하는 것이 이미 끊어졌다.
온 집안식구가 남쪽으로 내려가 응교공의 귀양살이하는 곳에 가까운 데에 살며 곁에서 모시려하니 응교공이 그 효성을 근심하고 또한 풍토병을 염려하여 조용히 불러 말하기를 나는 죄인이기 때문에 비록 병에 걸려 죽어도 피할 수 없지만 죄 없는 자손이 풍토병에 걸려 죽으면 의리라고 말할 수 없으니 너희들은 조금 가깝고 좋은 곳에 살면서 왕래하여 뵙는 것도 또한 봉양하는 하나의 길이다 하니 공이 하는 수 없이 창녕현(昌寧縣)에 이사하고 조금 있다가 밀양의 안태촌(安泰村)으로 다시 이사하여 그 거처를 정하고 고성과 옹진의 사이를 왕래하며 아버지를 뵈오니 경상도와 황해도 수 천리 길을 여러 해 동안 왕래하여 알지 못하는 사이에 몸은 피로하고 세월은 빨리 갔다. 癸亥年의 인조반정 초에 응교공이 맨 먼저 왕의 부름에 응하였고 공도 또한 공훈이 있어 움추렸던 것이 좀 펴지기를 기대하였더니 또 가화(家禍)를 만나 그치지 않았다.
응교공이 조정으로 돌아온 이듬해 甲子年에 영남(嶺南)으로 성묘가서 마침내 종기를 앓았으나 이괄(李适)이 반란하였다는 말을 듣고 종을 데리고 달려가다가 부여여관(扶餘旅館)에서 병이 위독하여 크게 야위인 나머지 큰 병으로 1年을 겨우 지내고 마침내 돌아가니 丙寅年 6月 14日이었고 나이 겨우 32歲였다.
조정에서는 호조정랑(戶曹正郞)을 증직 하였으니 대개 공은 인조에게 지극히 가까워서 인조가 임금이 되기 전부터 공의 크게 쓰일만한 것을 익히 알았으므로 그 단명한 것을 애석하게 여겨 조상의 음덕의 힘을 입어 보답한 것이다. 그전에 영남의 영상현(靈山縣)에 새 묘소자리를 만들어 玉果公 부인과 응교공 兩位분을 모셨으므로 공의 초상에도 또한 서울 집에서 발인하여 영산에 장사지내고 조금 있다가 양위를 옛 산에 이장하니 공의 묘만 영남에 남았으므로 丙午年에 비로소 선영 간좌원(艮坐原)에 반장(反葬)하고 부인도 합장하였다. 부인의 성은 趙氏요 본관은 漢陽이니 고려 태사(太史) 잠(岑)의 후손이며 知事 소민공(昭敏公) 휘 존성(存性)의 손녀요, 학생 휘 종원(宗遠)의 따님이고 장렬왕후(莊烈王后)의 종제(從娣)이다. 어머니는 광산김씨니 고려의 大姓 모(某)의 후손 광천위(光川尉) 인경(仁慶)의 손녀요, 군수 호수(虎秀)가 아버지이다. 만력(萬曆) 壬辰年에 부인을 낳으니 부인은 낳고 나서 바로 아버지를 여의고 김부인을 의지하였고 소민공의 슬하에서 컸다. 長成하여 공에게 시집왔으니 맑은 덕과 아름다운 행실은 선천적으로 타고났으며 음식을 맛있게 해드리고 제사를 잘 받들어 종부(宗婦)의 도리를 다하여 일가의 칭찬을 크게 받았더니 잠깐 뒤에 시가(媤家)가 위험한 화(禍)를 당하여 도망쳐 숨어살게 됨으로 그 어렵고 위태로움을 같이 한지 10餘年에 남편의 죽음으로 외롭게 살며 병상(病床)에서 오랜 병을 앓며 사람 사는 세상에 즐겁게 살지 못한지 25年이 되던 庚寅年 12月 20日 별세하니 수(壽)가 59였다. 남녀 8명을 두었으니 장남 약해(若海)는 찰방(察訪)이요, 2남 약명(若溟)은 감찰이며, 3남 약호(若湖)는 조졸무후(早卒無后)다. 장녀는 첨추(僉樞) 이석번(李碩蕃)에게 시집갔고, 2女는 학생 이명관(李命寬)에게 시집갔으며, 3女는 학생 김구(金球)에게 시집갔고, 4女는 현감 임세교(林世喬)에게 시집갔으며, 5女는 여태제(呂台齊)에게 시집갔으나 아들이 없어 조카 필관(必寬)으로 양자를 삼았다. 군수의 아들은 주현(胄賢)과 철현(澈賢)이요, 익(瀷)의 아들은 정현(鼎賢)과 중현(重賢)과 원현(元賢)과 유현(有賢)과 취현(聚賢)과 명현(明賢)이며, 오(澳)는 무후(无后)하여 속(涑)의 아들 최현(最賢)으로 양자를 삼았으며 속(涑)의 아들은 계현(啓賢)과 택현(宅賢)과 몽현(夢賢)과 득현(得賢)과 태현(泰賢)이고, 척(滌)은 아들이 없으며 여자로서 시집간 사람은 많아서 다 기록하지 못하고 내외(內外) 증손 현손이 모두 약간명이다.
공이 돌아간지 지금까지 70여년에 세상의 일이 복잡다단하여 아직도 묘비문이 없으므로 불초손(不肖孫) 척(滌)이 오래되면 없어질까 두려워서 가정에서 들은 바를 간략하게 쓰고 훌륭한 군자가 한마디 말을 주는 것을 기다린다.
불초손 익(瀷)이 삼가 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