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숙공(휘 회)신도비명

6세 공숙공 휘 회 묘소
소재지: 경기도 파주시 월롱면 영태리

묘 표 석


배위 정경부인 원주김씨 묘표석


공숙공 사당
소재지: 경기도 파주시 월롱면 도내리(안말)


공숙공 신도비(번역비)
소재지:경기도 파주시 월롱면 영태리


시묘암(공숙공의양부 강주부공묘 앞)

구신도비


공숙공 유모 묘소
소재지: 경기도 파주시 월롱면 영태리

[공숙공의 유모는 공이 갓난아기 때(아버지 溫의 被禍時) 등에 업고 慶北 善山으로 피난갔다가 그곳에서 康주부공(諱:居敏)을 만나 양아들로 入養하여준 분으로 現在 산소가 공숙공산소로부터 마주 보이는 앞山에 위치해 있다.]


약도 소재지:경기도 파주시 월롱면 영태리


輸忠保社定難翊戴純誠明亮經濟佐理功臣大匡輔國崇祿大夫議政府領議政靑松府院君恭肅公諱澮神道碑銘竝書
凡大人君子以顯於世者其盛德偉烈昭然在人耳目何可泯哉然托之於辭勒之於石亦爲不朽焉耳然則若公者其可以無藉乎公諱澮字淸甫靑松府人也曾祖諱龍以積累之德仕高麗卒贈門下侍中靑華府院君祖諱德符更歷險夷再爲高麗門下侍中入我朝爲議政府左議政靑城伯其登時之績史俱焉考諱溫世載其美領議政府事靑川府院君諡安孝公爲時名相配安氏領敦寧府事諡昭懿公天保之女封三韓國大夫人兩宗碩茂積慶流光有子女若干人 世宗昭憲王后其一以任姒之德爲國聖母公其弟也公生而奇偉嚴重寡言笑大夫人常曰我諸子唯某異秀他日享富貴必在此兒也旣壯循循蹈禮略無驕貴習惟以學問爲事在 世宗朝與兄濬弟決皆以事久不爲用 文宗卽位以國元舅緣情據例遂擢叙焉猶用大臣議欲漸進而練事初拔敦寧府注簿累遷至副知敦寧府事景泰癸酉進僉知中樞院事俄陞嘉善同知敦寧府事天順丁丑陞資憲工曹判書轉判漢城府事辛巳超拜輔國崇祿大夫領中樞院事尋帶五衛都摠府都摠管丙戌加大匡輔國崇祿大夫議政府左議政監春秋館事世子侍講院傅成化丁亥陞領議政兼春秋館藝文館弘文館觀象監事領世子侍講院師已而領中樞院事戊子 睿宗卽祚賊臣謀亂公有參定禍亂扶翊之功賜輸忠保社定難翊戴功臣號封靑城君己丑冬今 上卽位以公勳戚忠謇爲院相叅議庶政庚寅改官制封靑松府院君辛卯以公盡忠夾輔加賜純誠明亮經濟佐理功臣號甲午養母族姑全氏卒于慶尙之善山府議者謂公重臣方圖議國政不可以私恩釋重負且於禮不合公曰情之所在禮亦附焉吾豈忘鞠養之恩私圖其身便乎遂服衰奔喪以訖三年識者多公之義丙申夏服闋封靑松府院君凡國家大小之政莫不與議 上甚重之至丙午引年乞退 上不允已而賜几杖弘治癸丑正月遘疾卒于正寢享年七十六其治疾也醫藥膳羞之賜不絶其卒也賻贈吊祭之數有加仍賜諡曰恭肅越四月己酉葬于坡州之東牛浪洞亥坐巳向之原嗚呼公之始終可謂無憾矣初 上賜資治通鑑使知古今事以爲後日之用公手不暫釋幾於成誦晩好性理之學常讀大學中庸每語子弟曰老來萬事無味惟此書會心耳故凡議大事決大疑必據正詣理無依違之論此其學問之力爲多矣性本簡嚴居官莅事守正不阿人不敢干以私爲相務存大軆不喜紛更孜孜奉公憂國如家平居雖隆冬盛暑終日跪坐至於子姪必正冠迎之接士大夫以禮門無私客古人論外戚權勢以爲見其位矣未見其人也嗚呼若公者眞可謂見其人矣豈以位爲哉戚畹之峻望公輔之利器前後一人而已公娶崇政大夫知中樞院事諡戴敬公金連枝之女生三男長曰潾通政兵曹參議次瀚純誠佐理功臣嘉善靑川君次湲奉列內資寺判官潾娶大護軍李孝林之女生一男曰順路通訓司僕寺主簿瀚娶戶曹叅判李師純之女無子湲娶副司正李義坵之女生三男二女長曰順道朝奉忠勳府都事次曰順徑進勇宣傳官中壬子武科次曰順文中丙午生員長女適掌隸院司評鄭洵次適鳳山正敦旣葬之明年公之甥左相宣城府院君屬余序其事余惟公之宦歷勳業自有國史因未暇詳也至於德行之實雖罄竹帛亦未盡記然不敢終違其命姑畧序梗槩係之以銘銘曰
靑華浚之靑城潤之安孝是承又重振之載誕聖女寔爲國母乃生胤嗣王之元舅鬱鬱靑松奕世高風積德累慶代有三公公在幼時聖善有辭曰後富貴必在此兒言合如符身與位俱 文宗世祖是秩是圖旣長冬官鶚立朝端旋陟巖廊領袖鵷鸞再盟帶礪心惟輔世國政是議王業是締彬彬文史沈涔性理不滯於物超然正己簡潔獨立旃高莫及終始富貴年踰七十人言外戚位存名寂嗚呼若人誰巽其跡有山巍巍有水依依公墓在此子孫攸歸

左議政 魚世謙 撰


수충보사정난익대순성명량경제좌리공신대광보국숭록대부의정부영의정청송부원군공숙공휘회신도비명병서(번역문)
무릇 대인 군자로서 세상에 드러난 사람은 그 성한 덕과 높은 정열을 분명하게 남이 보았는데 어찌 없어질 수 있을까. 그러나 글로 써서 남기고 돌에 새겨서 전해야만 썩지 아니한다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공과 같은 분에게 어찌 기록이 없을 수 있겠는가.
공의 이름은 회(澮)요, 자는 청보(淸甫)니 청송부 사람이다. 증조의 이름은 용(龍)으로 오랫동안 쌓아온 덕 때문에 고려조에 벼슬했는데 죽어서 문하시중 청화(靑華)부원군에 추증되었고, 할아버지의 이름은 덕부(德符)로 여러 번 험한 과정을 지내면서 두 번이나 고려의 문하시중을 지내고 조선조에 들아와서 의정부 좌의정을 지내고 청성백(靑城伯)에 봉해졌다. 그가 벼슬했을 때의 공적은 사적(史績)에 이미 등재되어 있다.
아버지의 이름은 온(溫)으로 대대로 미덕을 구비하여 영의정부사를 지내고 청천부원군에 봉해졌으며 시호는 안효공(安孝公)인데 당시의 명재상이다. 어머니 안씨는 돈녕부사를 지내고 시호 소의공(昭懿公)을 받은 천보(天保)의 딸이다. 삼한국대부인(三韓國大夫人)에 봉해졌으며 두 집의 큰 덕과 쌓인 경사로 빛이 자손에게 흘렀다. 자녀가 몇 사람 있는데 소헌왕후(昭憲王后)①가 그 첫째로 임사(妊姒)②의 덕을 간직하여 나라의 성모(聖母)③가 되었는데 공은 그 아우이다.
공은 나면서부터 기위(奇偉)하고 엄중하며 말과 웃음이 적었다. 공의 어머니께서 항상 말씀하기를
『나의 여러 아들 가운데 회(澮)만 특별히 다르니 훗날 부귀를 누릴 수 있다면 반드시 이 아이 덕일 것이다.』하였다.
장성하여서는 순순하게 예를 행하여 조금도 교만하거나 귀한 습관이 없고 오직 학문으로 일삼았다. 세종조에서는 형 준(濬)과 아우 결(決)이 모두 일 때문에 오래도록 등용되지 못했다. 문종이 즉위하자 나라의 원구(元舅)④로 정을 인연하고 예에 따라 탁발되어 서용(픊用)⑤되었다. 대신들의 논의에 따라 점차 등용하여 쓰기로 하여 즉위초에 돈녕부 주부로 발탁되었다. 여러 번 자리를 옮겨 부지돈녕부사에 이르렀다. 경태(景泰) 계유(癸酉:1453)년에 첨지중추원사로 옮기고 얼마 뒤 가선계에 승진하여 동지돈녕부사가 되고 천순(天順) 정축(丁丑:1457)년에 자헌계에 승진하여 공조판서가 되었다가 판한성부사로 옮겼다. 신사(辛巳:1461)년에 계급을 뛰어 넘어 보국숭록대부에 오르고 영중추원사가 되었다. 얼마 후 오위도총부 도총관을 겸했다. 병술(丙戌:1466)년에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 좌의정 감춘추관사 세자시강원부가 되었다. 정해(丁亥:1467)년에 영의정에 올라 춘추관 예문관 홍문관 관상감사 영세자시강원사를 겸했다. 그리고 영중추원사가 되었다.
무자(戊子:1468)년에 예종(睿宗)이 즉위하자 적신(賊臣)⑥들이 난을 도모했는데 공이 참가하여 화란을 평정시키고 왕을 보좌한 공으로 수충보사정난익대공신(輸忠保社定難翊戴功臣)의 칭호가 하사되고 청성군에 봉해졌다.
기축(己丑:1469)년 겨울에 성종(成宗)이 즉위하자 공이 훈척(勳戚)⑦과 충건(忠죩)⑧으로 원상(院相)⑨이 되어서 서정(庶政)⑩에 참의했고 경인(庚寅:1470)년에 관제를 고쳐서 청송부원군에 봉해졌다. 신묘(辛卯:1471)년에 공이 충성을 다했다고 해서 순성명량경제좌리공신(純誠明亮經濟佐理功臣)의 호가 추가로 하사되었다.
갑오(甲午:1474)년에 양모(養母)인 족고모(族姑母)⑪ 전씨가 경상도 선산부(善山府)에서 죽었는데 사람들이 말하였다.
『공은 중신(重臣)이기 때문에 지금 국정을 보살피고 있으므로 사은(私恩)을 가지고 중책을 벗는 것은 예에 맞지 않습니다.』
『정이 있는 곳에는 예도 따르는 법이다. 내 어찌 길러준 은혜를 잊고 사사롭게 그 몸만을 생각해서 의를 버리겠는가?』
공은 이렇게 말하고 최복(衰服)⑫을 입고 분상(奔喪)⑬했다. 3년상을 마치니 아는 사람들은 공이 의리를 잘 지킨다고 칭찬했다.
병신(丙申:1476)년 여름에 복을 마치자 청송부원군을 봉해져 국가의 크고 작은 정치에 관여하게 하고 임금께서 매우 소중하게 생각했다. 병오(丙午:1486)년이 되어 나이를 핑계로 퇴직할 것을 청했으나 임금께서 허락하지 아니하고 얼마 뒤에 궤장(几杖)⑭을 하사했다. 계축(癸丑:1493)년 정월에 병을 얻어 정침(正寢)⑮에서 별세하니 향년(享年)⑯ 76세였다. 그 병을 치료할 때 의약품이나 반찬 등의 하사품이 끊어지지 아니했고 공이 죽었을 때는 조상하고 제사지내는 부조와 하사품이 상례에 넘쳤다. 이리하여 시호도 공숙(恭肅)이라 했다. 4월 기유(己酉)일에 파주(坡州)의 동쪽 우랑동(牛浪洞) 해좌사향의 언덕에 안장했다.
아! 공은 나서 죽을 때까지 유감이 없는 사람이라 할 수 있다. 처음 임금께서 《자치통감(資治通鑑)》⑰을 하사하여 고금의 역사를 알아서 후일에 사용하는데 도움이 되게 했는데 공이 그 책을 손에서 잠시도 놓은 일이 없이 거의 외우게 되었고 뒤에 성리(性理)의 학문을 좋아해서 항상 《대학》과 《중용》을 읽었다.
『늙어서 만사에 뜻이 없는데 다만 이 책이 마음에 맞는구나.』
항상 자제들에게 이렇게 큰 일을 논의하거나 큰 의심나는 일을 처리할 때는 반드시 바른 논리에 의거하고 틀린 의론을 따르는 일이 없었다. 이것이 공의 학문의 힘이 많다는 증거이다. 성품이 본래 간엄(簡嚴)⑱하여 벼슬자리에 있으면서 일을 볼 때도 바른 도리를 지키고 아부하지 아니하니 사람들이 감히 사사로운 일로 청하지 못했다. 핵심되는 일에 힘쓰고 분경(紛更)⑲을 좋아하지 아니했으며 부지런히 공무에 최선을 다하여 나라 걱정을 집 걱정하듯 했다. 평상시에는 비록 추운 겨울이나 무더운 여름날이라고 하더라고 반드시 꿇어 앉아 있었으며 자질(子姪)⑳과 같은 손아랫사람이 와도 반드시 의관을 정돈하고 맞이하였고 사대부(士大夫)는 예로 대접했으며 문 안에는 청탁하려고 오는 사람이 없었다. 옛 사람들은 외척과 권세를 논할 때 그 자리만 보고 그 사람을 보지 아니한 것이다.
아! 공과 같은 사람은 참으로 그러한 사람이라고 할 수 있다. 어찌 벼슬 때문이라고 하겠는가. 척당이 바라보는 높은 덕망과 나라를 이롭게 하는 보배로운 그릇으로는 예전이나 지금에도 공만한 분이 없다.
공이 숭정대부 지중추원사 시호 대경공(戴敬公)인 김련지(金連枝)의 딸에게 장가 들어 아들 3형제를 낳았는데 맏아들은 린(潾)이니 통정대부 병조참지요, 둘째 아들은 한(瀚)이니 순성좌리공신 가선대부 청천군이요, 셋째 아들은 원(湲)이니 봉렬대부 내자시 판관이다.
맏아들 인(潾)은 대호군 이효림(李孝林)의 딸에게 장가들어 아들 하나를 낳으니 이름이 순로(順路)로 통훈대부 사복시 주부이다. 한(瀚)은 호조참판 이사순(李師純)의 딸에게 장가들었으나 아들이 없다. 원(湲)은 부사정 이의구(李義坵)의 딸에게 장가들어 3남2녀를 낳으니 맏아들은 순도(順道)로 조봉대부 충훈부 도사요, 둘째 아들은 순경(順徑)이니 진용 선전관으로 임자(壬子:1492)년 무과에 급제했고, 셋째 아들이 순문(順門)이니 병오(丙午:1486)년 생원시에 합격했다. 맏딸은 장예원 사평 정순(鄭洵)에게 출가했고, 둘째 딸은 종실 봉산정(鳳山正) 돈(敦)에게 출가했다.
장사를 지낸 이듬해 공의 생질(甥姪)(21) 좌상 선성부원군이 나에게 그 사적을 서술할 것을 부탁하였다. 나는 생각해 보니, 공이 벼슬살이 한 이력과 훈업은 이미 국사에 기록되어 있으나 그것을 자세히 조사할 여가가 없고 덕행(德行)의 실상은 비록 사적(史績)에 올라 있기는 하지만 다 기록할 수가 없다. 그러나 끝내 그 명령을 거스리지 못해서 간략하게 그 대강을 기술하여 명을 지으니,
 명은 다음과 같다.
 청화군(靑華君)이 시작하고 청성군(靑城君)이 윤택하니
 안효공(安孝公)이 이것을 이어서 더 더욱 가성을 떨쳤네.
 비로소 성녀(聖女)를 탄생하시니 이분이 바로 국모(國母)이시고
 이분이 후사를 낳아 대통을 이으시니 바로 왕의 원구(元舅)가 되시었네.
 울울창창한 청송의 심씨여, 대를 이어가면서 높은 풍성을 냈구나.
 덕을 쌓으니 경사가 이어져서 대대로 삼공(三公)이 나시었네.
 공이 어렸을 때 성모께서 좋은 말씀 있으시었는데
 뒷날의 부귀는 반드시 이 아이에게 있을 것이라고
 말이 부절(符節)(22)처럼 맞아서 몸과 지위가 모두 갖추어졌네.
 문종(文宗)과 세조(世祖)께서 이와 같이 올려주고 이와 같이 도와주셨네.
 이미 동관(冬官)(23)의 장관이 되어서는 물수리처럼 조정에 우뚝 섰네.
 두루 암랑(巖廊)(24)을 거쳤고 원난(鵷鸞)(25)의 영수가 되셨네.
 두 번이나 대려(帶礪)(26)에 맹세했으니 마음에는 오직 세상 도울 생각뿐이네.
 국정을 함께 의논했고 왕업을 이에 연결해 주었네.
 훌륭한 글솜씨로 문사(文史)를 장식하고 성리학에 깊이 빠져들었네.
 사물(事物)에 구애되지 아니하고 초연한 자세로 몸을 바르게 가졌네.
 간결한 마음으로 독립하니 깃대의 높이로도 미치지 못했네.
 처음에서 끝까지 부귀하여 나이 칠십을 넘겼네.
 사람들은 외척(外戚)이라 말하지만 벼슬만 있고 명성은 고요했네.
 아! 이같은 사람이 누가 있어 그 자취를 따르겠는가.
 산은 아득하게 높고 물은 잔잔하게 흐르는 것을
 공의 무덤 여기에 있으니 자손들이 의지하여 돌아오겠지.

  좌의정 어세겸이 지음.


 註① 소헌왕후(昭憲王后):세종대왕의 왕비.
② 임사(妊姒):태임과 태사. 태임은 주(周)나라 창시자 문왕(文王)의 어머니, 태사는 문왕의 왕비. 모두 부덕이 높다고 해서 여성의 사표로 삼음.
③ 성모(聖母):국모 즉 왕비.
④ 원구(元舅):왕의 외삼촌. 왕통을 이을 아들을 낳은 왕비의 친정 형제.
⑤ 서용(叙用):죄를 풀고 능력에 따라 서서히 기용함.
⑥ 적신(賊臣):나라를 해한 신하. 왕권을 찬탈하려는 신하.
⑦ 훈척(勳戚):공신과 척신. 여기서는 척신으로 공을 세운 사람.
⑧ 충건(忠謇):충성스럽고 직언(直言)을 하는 사람.
⑨ 원상(院相):원로대신의 최고 책임자. 전 영의정으로 현재 직에 있지 아니하나 일의 중요성에 비추어 임시로 임용하는 직책.
⑩ 서정(庶政):모든 정치, 서민에 관한 정치라는 뜻으로 서정이라 함.
⑪ 족고모(族姑母):일가벌이 되는 고모.
⑫ 최복(衰服):상복. 상복에는 두 가지가 있는데 아버지에 대한 상복을 참최(斬衰), 어머니에 대한 상복을 재최(齋衰)라 부른다.
⑬ 분상(奔喪):부모나 동기가 죽었다는 부고를 받고 집상하려고 달려가는 일.
⑭ 궤장(几杖):원로대신이 늙어서 퇴임할 때 짚고 다니는 막대와 의지하고 앉는 궤를 하사하는 일이 있는데 그 안석과 지팡이.
⑮ 정침(正寢):잠자는 곳. 즉 그가 평시 기거하는 집의 사랑방.
⑯ 향년(享年):이 세상에서 생명을 누린 나이, 향수 또는 수라고도 함.
⑰ 자치통감(資治通鑑):송나라 사마광(司馬光)이 쓴 중국 역사책.
⑱ 간엄(簡嚴):간략하고 엄숙함. 즉 좋고 싫은 것을 말로 표시하지 아니함.
⑲ 분경(紛更):어수선하게 고침. 관직을 청탁하기 위해서 권력가의 집을 어수선하게 찾아다님.
⑳ 자질(子姪):아들과 조카. 비유하여 자기보다 낮은 친척의 총칭.
  (21)생질(甥姪):누이의 아들과 딸. 생은 조카 또는 사위.
  (22)부절(符節):급할 때 군대에서 진가를 가리기 위해 쓰는 신표(信票).
  (23)동관(冬官):공조(工曹).
  (24)암랑(巖廊):궁전의 높은 낭하. 비유하여 조정.
  (25)원난(鵷鸞):붕새와 난새. 붕과 난은 고귀함을 뜻함. 전하여 국정을 수행하는 기관.
  (26)대려(帶礪):황하가 띠와 같이 좁아지고 태산이 숫돌과 같이 작게 되어도 국토는 멸망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공신의 집은 영구히 단절시키지 않겠다는 맹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