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령공(휘 천주)

현령공 휘 천주 제단비
소재지: 경북 안동시 풍천면 인금리


소재지:경북 안동시 풍천면 인금리

縣令公諱天柱祭壇碑銘
縣令沈公諱天柱號野逸國初人也墓地代遠失其傳間者其裔孫在漢鎔燮章漢在洪等與諸族謀築祭壇于豊川之月崖又將伐石而表之委來告中均曰家世淪落南鄕久隨之以兵燹文獻無得以徵也譜牒公諱下只載縣令二字野逸標號章漢始於金淸溪先生贈公八代孫叅奉諱光佐詩稿中得之矣其泯沒如是尙何暇論於事行之述哉最新痛心者世無有深目之人指示衣履之藏春秋霜露無由少伸追遠之誠玆就胄孫所居地設祭壇竪之表石盖亦不獲已也幸惠一言中均辭謝之曰夫祭於墓通行之禮也設壇義起也而所以竪石而爲來後圖者墓與壇無異是豈不侫之所可堪任哉請之再三不置遂序次其氏族源流而系以銘謹按靑松之沈某上祖曰文林郞衛尉寺丞洪孚卽公高祖曾祖諱淵閤門祗侯脫屣名利終老林泉祖諱龍典理正郞追封門下侍中靑華府院君生二子長德符本朝靑城伯次元符典理判書麗亡入杜門洞號岳隱於公爲皇考公有子五人世叔判官世龍世弼世基世材牧使牧使玄孫希括 光廟時以學生議復上王被極刑事在莊陵志以故一門被禍奔迸遂以不振云 銘曰
 余窃獨念 公當國家景運之初 不思所以 攀鱗附翼 而野逸自居杜門 家風之所自歟 文獻雖湮 猶可以是而想像其爲人 豊山屹立兮 除地潔蠲 春露秋霜兮 相率執豆籩 精氣感通 理有然情 且觀夫鑿井而得泉

成均進士 李中均 謹撰
前 主 事 豊山 柳時鳳 謹書
丁丑五月  胄孫 泰鉉 立


현령공휘천주제단비명(번역문)
현령 심공(沈公)의 휘는 천주(天柱)이고, 호는 야일(野逸)이며 조선조 초기 인물이다. 묘소는 대수가 멀어서 실전되었는데 요사이 그의 후손인 재한(在漢), 용섭(鎔燮), 장한(章漢), 재홍(在洪) 등이 제족과 더불어 풍천땅 월애(月崖) 마을에 재단을 축조할 것을 계획하고, 또한 석물을 깎아 표지를 세움에 앞서 나 중균(中均)을 찾아와 말하기를,
『가세가 몰락하여 남쪽 시골에 오래 살았는데 병란으로 인하여 징거할 문헌을 얻을 수 없으며, 족보에 공의 이름 아래에 단지 현령이란 두 글자가 기재되어 있다.』
공의 호 야일은 장한(章漢)이 처음으로 김청계(金淸溪) 선생이 공의 8대손 참봉 휘 광좌(光佐)에게 보내온 시장(詩章) 중에서 얻어낸 것이다. 이와 같이 사적이 인멸되었으니 어느 겨를에 사적의 기술에 대해 논할 수 있으리오. 가장 마음 아픈 것은 세상에서 실전(失傳)된 의리지장(묘소)을 가르쳐 주는 사람이 없으니 춘추로 서리와 이슬을 맞으면서도 무엇으로도 추원지성(숭조심)을 펼 수 없는 일이다.
이에 종손이 거주하는 마을에 제단을 설치하고 표석을 세움은 부득이한 일이므로 행여나 한마디 글을 지어 달라고 청해오니, 나 중균(中均)은 감격하고는 묘소에서 제사 지냄은 공통된 예법이고 설단하여 제사 지냄은 의리에서 나온 일이므로 석물을 세워 후대를 위하는 일은 묘소와 제단이 다름이 없으니 이는 어찌 모자란 내가 감당할 수 있으리오하고 사양하였다. 그러나 재삼 간청하므로 끝내 거부하지 못하고 드디어 그 씨족의 원류에 따라 서차를 정리하고 이어 비명을 지었다.
삼가 살피건대 청송 심공의 시조는 문림랑 위위시승 홍부(洪孚)이니 즉 공의 고조부이시고, 증조부의 휘는 연(淵)이니 합문지후이신바 명리(名利)를 벗어 버리고 임천(시골)에서 살다가 세상을 마치셨다. 조부의 휘는 용(龍)이니 전리정랑이며 문하시중 청화부원군에 추봉되셨다. 이분이 두 아드님을 두시니 장남은 덕부(德符)로 본조(조선)의 청성백(靑城伯)이고, 차남은 원부(元符)로 전리판서를 지내고 고려가 망하자 두문동에 들어가셨으며 호가 악은(岳隱)이니 공의 아버지가 되신다.
현령공께서는 다섯 아들을 두시니 세숙(世叔)은 판관이요, 세룡(世龍), 세필(世弼), 세기(世基)가 있고 세재(世材)는 목사이다. 목사공의 현손 희괄(希括)이 광묘(세조)연대에 학생으로서 상왕(端宗)을 복위시키려고 논의하다가 극형을 당했는데 이 사실이 장릉지(莊陵志)에 등재되어 있다. 이러한 연고로 인하여 일문의 화를 피해 숨어서 살게 되니 드디어 진흥하지 못하였다.
명은 다음과 같다.
내가 그윽히 생각하건대 공께서 국가 신흥의 시초를 당하여 권세를 얻는 일을 생각하지 않고 야인이라 자처하면서 두문불출 하셨으니 이는 가풍에 인연한 바이다. 문헌이 비록 인멸되었더라도 오히려 이것으로 그의 사람됨이 풍산 땅에 우뚝 솟았음을 상상할 수 있다. 티를 깨끗이 쓸어내고 봄이슬, 가을서리 내리는 계절에 서로가 제기를 잡고 제사지내면 이치로 보아 정기가 조상의 영혼에 통할 것이며, 한편으로 우물파서 샘물을 얻는 살기 좋은 세상을 볼 것이다.

      성균관 진사 이중균이 삼가 짓고
      전주사 풍산 유시봉이 삼가 글씨를 썼으며
      1937년(정축년) 종손 태현이 삼가 세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