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화부원군묘갈

惟我靑松之沈自麗末顯于世有文林郞衛尉寺丞諱洪孚寔爲鼻祖寺丞生閤門祗侯諱淵祗侯生公諱龍 爲典理正郞至我 朝追封門下侍中靑華府院君墓在安城郡北實旺里夫人金氏墓在郡西砧頭里去公墓五里許也世旣遠墓又無顯刻公之生卒行蹟若夫人系貫皆湮沒無傳顧吾宗自鼻祖三世至公子姓始蕃衍昌大世有名公碩輔爲國柱石又再膺沙麓之祥以基億萬年無疆之休於戱不深不遠不厚不茂積累所發斯可徵也公有二子長左侍中靑城伯諡定安公諱德符次元符定安公有七子曰仁鳳都摠制曰義龜判事曰繼年牧使曰澄府尹曰溫領議政靑川府院君諡安孝生 聖女爲 昭憲王后曰淙靑原尉尙 太祖女曰 同知摠制自此內外億麗不可殫記而府尹安孝兩家之裔最盛觀察使璿左叅贊光彦領議政之源知事之溟靑平尉益顯府尹之後也安孝有三子曰濬領中樞曰澮領議政靑松府院君諡恭肅曰決領中樞諡靖夷圻伯岱叅判演皆濬之後岱死節壬辰亂恭肅之孫舍人諱順門以直言被禍於燕山時有四子長領議政連源其子靑陵府院君鋼卽我 仁順王后之皇考也時公廟親盡將毁 后下敎曰夢吾祖願勿祧其亟奉還宮其孫以祀之噫公之沒旣百有八九十載而其精爽流通感激如此異哉次修撰達源次同敦寧逢源次右議政通源其後有大司憲義謙判書忠謙鋼之子也左議政喜壽逢源之孫也判書詻判書諿達源曾孫也壬丁兵燹之後子孫失公墓忠謙子議政悅爲畿伯尋得之喜壽曾孫判中樞梓諿孫副提學攸達源五代孫大司憲檀獻納思泓鋼玄孫叅知枰詻孫監司 悅孫持平權光彦五代孫士人楷倡中外諸族改築封捐財樹石仍屬 識其陰辭不獲쪭記傳世系派以誌于後云

十二世孫 通政大夫守黃海道觀察使 橃 謹撰


3세조 청화부원군휘용묘갈(번역문)
우리 청송 심씨는 고려말 때부터 세상에 나타나니 문림랑위위시승(文林郞衛尉寺丞)을 지낸 휘 홍부(洪孚) 이분이 비조(鼻祖)①가 된다. 시승(寺丞)②이 합문지후(閤門祗侯) 휘 연(淵)을 낳고 지후가 공(公)인 휘 용(龍)을 낳았는데 벼슬이 전리정랑(典理正郞)에 이르고 아조(我朝)③에 들어와서 문하시중청화부원군(門下侍中靑華府院君)에 추봉(追封) 되었으며 묘는 안성군북실왕리(安城郡北實旺里)에 있다. 부인 김씨의 묘는 군의 서쪽인 침두리(砧頭里)에 있어 공의 묘에서 五리쯤 떨어져 있다.
대수가 이미 멀고 묘에는 현각(顯刻)④이 없기 때문에 공의 생졸과 행적과 부인의 계보나 관향 같은 것이 모두 인몰(湮沒)⑤되어 전함이 없다. 우리 종족을 회고해 보면 비조로부터 삼세인 공에게 와서 자손이 처음으로 번연(蕃衍)⑥하고 창대해져서 대대로 명공(名公)과 석보(碩輔)⑦가 나와 나라의 주석(柱石)이 됐다. 또한 두번이나 왕비(王妃)가 탄생되었으므로 억만년의 기초를 만들어 무강(無疆)한 아름다움이 있게 하였다.
아! 깊지도 아니하고 멀지도 아니하며 두텁지도 아니하고 무성하지도 아니한 적루(積累)⑧에서 나온 것임을 여기서 징험할 수가 있다.
공에게는 아들이 둘 있는데 맏이는 좌시중청성백(左侍中靑城伯)으로 시호(諡號)가 정안공(定安公)인 휘 덕부(德符)이며 다음은 휘 원부(元符)다. 정안공에게는 일곱 아들이 있는데 인봉(仁鳳)은 도총제요, 의구(義龜)는 판사요, 계년(繼年)은 목사(牧使)요, 징(澄)은 부윤이요, 온(溫)은 영의정청천부원군(領議政靑川府院君)으로 시호가 안효(安孝)다. 이분이 성녀(聖女)를 낳아 소헌왕후(昭憲王后)가 됐다. 종(淙)은 청원위(靑原尉)로 태조(太祖)의 따님에게 장가들었고 정(泟)은 동지총제(同知摠制)가 됐다. 이로부터 내외의 많은 자손을 다 기록할 수는 없으나 부윤과 안효의 두 집 자손이 가장 번성하니 관찰사 선(璿)과 좌참찬 광언(光彦)과 영의정 지원(之源)과 지사(知事) 지명(之溟)과 청평위(靑平尉) 익현(益顯)은 부윤의 후손이요. 안효에게는 세 아들이 있었는데 준(濬)은 영중추(領中樞)요, 회(澮)는 영의정 청송부원군으로 시호가 공숙(恭肅)이며 결(決)은 영중추로 시호가 정이(靖夷)다. 기백(圻伯)⑨ 대(岱)와 참판 연(演)은 모두 준(濬)의 후손이다. 대(岱)는 임진년 병란에 사절(死節)⑩하였고, 공숙의 손자 사인(舍人) 휘 순문(順門)은 직언(直言)을 하다가 연산주 때 화(禍)를 입었다.
아들 넷이 있는데 맏은 영의정 연원(連源)이요, 그 아들 청릉부원군 강(鋼)은 곧 우리의 인순왕후(仁順王后)의 황고(皇考)가 된다. 그 때 공의 묘우(廟宇)가 친진(親盡)⑪되어 신주를 매안후에 인순왕후께서 하교(下敎)하기를
『꿈에 할아버지께서 원하시기를 신주를 묻지 말라고 하였으므로 빨리 신주를 모시고 환궁하여 그 자손이 제사 지내게 하라.』 하였으니
아! 공이 가신지 이미 백팔구십 년이 지났으나 그 정상(精爽)⑫이 유통하여 감격시킴이 이와 같으니 기이하도다. 다음은 수찬(修撰) 달원(達源)이요, 다음은 동돈녕 봉원(逢源)이요, 다음은 우의정 통원(通源)이다. 그 뒤에도 대사헌 의겸(義謙)과 판서 충겸(忠謙)은 강(鋼)의 아들이다. 좌의정 희수(喜壽)는 봉원(逢源)의 손이요, 판서 액(詻)과 판서 즙(諿)은 달원(達源)의 증손(曾孫)이다.
임진 정묘의 병란 뒤에 자손들이 공의 묘를 잃어버렸는데 충겸(忠謙)의 아들 의정 열(悅)이 기백(畿伯)으로 있을 때 찾았고, 희수(喜壽)의 증손 판중추(判中樞) 재(梓)와 즙(諿)의 손자 부제학(副提學) 유(攸)와 달원(達源)의 오대손 대사헌 단(檀)과 헌납(獻納) 사홍(思泓)과 강(鋼)의 현손 참지(叅知) 평(枰)과 액의 손자 감사 벌(橃)과 열(悅)의 손자 지평(持平) 권(權)과 광언(光彦)의 오대손 사인(士人) 해(楷)가 중외(中外)⑭의 모든 친족을 모아 봉분을 개축하고 돈을 내어 비석을 세웠다. 그리고 벌(橃)에게 그 음사(陰辭)⑭를 기록하도록 청하므로 사양하지 못하고 대략 대대로 전해 온 계파를 뒤에 기록하였다.
      12대손 통정대부수황해도관찰사(通政大夫守黃海道觀察使) 벌(橃)이 삼가 지음.

註① 비조(鼻祖):시조(始祖). 즉, 창시자(創始者)로 사람이 뱃속에서 생길 때 코가 먼저 이루어진다고 하여 이름한 것.
② 시승(寺丞):위위시승(衛尉寺丞)의 준말. 벼슬 이름.
③ 아조(我朝):이씨 조선. 조선시대에 살던 사람들이 자기 나라를 부르는 명칭. 자기 나라.
④ 현각(顯刻):돌이나 바위에 사람들이 잘 알아볼 수 있도록 새겨 놓은 문자. 전하여 비석(碑石).
⑤ 인몰(湮沒):가라앉아 파묻힘. 파묻혀 없어짐.
⑥ 번연(蕃衍):초목이 무성하여 퍼짐 전하여 자손(子孫)이 많이 퍼짐.
⑦ 석보(碩輔):보좌하는 어진 신하. 즉 현신(賢臣).
⑧ 적루(積累):적덕루인(積德累仁)의 준말. 덕을 많이 쌓고 어진 일을 여러 번 행함. 즉, 착한 일을 많이 함.
⑨ 기백(圻伯):경기도관찰사(京畿道觀察使).
⑩ 사절(死節):국가가 어려운 일을 당했을 때 죽음으로 충절을 지킴. 또는 그 일.
⑪ 친진(親盡):보통 사람들은 五대만 되면 신위(神位)를 매안(埋安)하는데 五대가 지나는 것을 일컬음.
⑫ 정상(精爽):영혼(靈魂) 또는 정령(精靈).
⑬ 중외(中外):중간과 밖. 곧 서울과 지방.
⑮ 음사(陰辭):음기(陰記) 비석(碑石) 뒷면에 망인의 내외측 가계(家系)와 자손(子孫)의 번연사실을 기록한 글. 비음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