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호정공 휘 광형 묘소 |
先生姓沈氏諱光亨字文翁號霽湖亭靑松人麗朝文林郞諱洪孚後我 定廟朝左相定安公諱德符六世孫仁壽府尹諱澄五世孫戶判良惠公諱石雋玄孫 端廟朝仗節名臣號忘世亭進文京畿觀察使兼領 集賢殿大提學淸白吏 贈輔國領敦寧事諱璿曾孫牧使 贈兵叅諱安智孫敦寧府都正諱淳子也妣昌原丁氏進士薙之女貞靜純一甚有婦德以 正德庚午九月三日生先生于玉果濕霜里第先生生而資相秀異自童孩時不事遊戱聰穎絶人事父母孝養備至喪必致哀祭必致禮奉先之節克盡情文交友之道信義相孚處宗族敦睦訓子姪嚴正博通經史不屑屑於公車業專心爲己之學學者坌集見其儼然端坐莫敢窺其涯涘臨事純雅持心端確其他居家處鄕待人接物嚴毅方正不可以言語形容始卜居于本邑之霽洞本道臣金先生正國狀 聞曰孝襲曾氏學遵晦翁文章之才禮法之行道義旣立名節斯興 中廟嘉之特除中學訓導又除四邑訓導其爲光陽谷城也以眞舍人家塾規訓揭諸壁上以訓生徒其爲南平淳昌也以朱夫子學則逐日講習而奬進之平日所居之室以白鹿洞敎條條列書揭以爲學者講明遵守之資河西金先生麟厚涖宰是邑也討論詩禮大有啓益探
![]()
丙午陽復月 日 선무랑행훈도공휘광형행장(번역문) 先生의 姓은 심씨(沈氏)요 휘(諱)가 광형(光亨)인데 字는 문옹(文翁)이며 號는 제호정(霽湖亭)으로 靑松人이다. 여조(麗朝)에 문림랑(文林郞) 휘(諱) 홍부(洪孚)의 후예(後裔)로 朝鮮朝 定宗때 좌의정(左議政) 정안공(定安公) 휘(諱) 덕부(德符)의 6世孫이며 인수부윤(仁壽府尹) 휘(諱) 징(澄)의 五世孫이요 호조판서(戶曹判書) 양혜공(良惠公) 휘(諱) 석준(石雋)의 玄孫이고 端宗朝에 장절명신(仗節名臣)인 호가 망세정(忘世亭)으로 進士이며 문과급제(文科及第)하여 경기도 관찰사 겸 집현전 대제학(觀察使 兼 集賢殿 大提學)을 역임하고 청백리(淸白吏)로 뽑혔으며 보국숭록대부 영돈녕(輔國崇祿大夫 領敦寧)으로 증직된 諱 선(璿)의 曾孫이요 목사(牧使)를 지내고 병조참판(兵曹叅判)에 증직된 諱 안지(安智)의 孫이며 돈녕부 도정(敦寧府 都正) 諱 순(淳)의 아들이다. 비(妣)는 창원정씨(昌原丁氏)인데 進士 치(薙)의 따님으로 정정(貞靜)하고 순일(純一)하여 부덕(婦德)을 두루 갖추었는데 명종경오(西紀1510年) 9月 初3日에 옥과(玉果) 습상촌제(濕霜村第)에서 선생(先生)을 낳으시니 先生은 태어날 때부터 자상(資相)이 수이(秀異)하고 어릴 때부터 유희(遊戱)를 싫어하고 총영(聰穎)함이 뛰어났으며 부모(父母)를 섬김에는 효양(孝養)을 극진(極盡)히 하였고 상(喪)에 임하여서는 치애(致哀)하고 제사(祭祀)를 모심에 반드시 禮를 다하였으며 봉선(奉先)하는 情과 례절(禮節)을 극진(極盡)히 하였다. 학문(學文)에 정성을 다하고 벗을 사귐에는 신의(信義)로 하였으며 종족(宗族)엔 돈목(敦睦)으로 처신하고 자질(子侄)은 엄정히 가르쳤다. 경서(經書)와 경사(經史)를 널리 통달(通達)하고 과거공부(科擧工夫)는 달갑게 여기지 않았고 위기지학(爲己之學)에 전심(專心)하니 學者들이 다투어 모여 들었는데 그 엄연(儼然)하고 단정한 모습 그 영역(領域)을 감히 엿볼 수 없었다. 일을 하는데는 깨끗하고 아름답게 처리(處理)하였고 마음 가짐은 단정하고 확실하였으며 其他 집안에서나 고을에 거처(居處)할 때 사람을 대하고 물건(物件)을 접함에 엄하고 굳세게 하였으며 그 방정(方正)함을 말로서 형용(形容)하기 어려웠다. 본 고을 제동(霽洞)에 터를 定하고 삶에 本道 觀察使 金先生 正國이 글을 올려 이르기를 孝는 증씨(曾氏)를 이었으며 學問은 회옹(晦翁)의 정통(正統)을 준수(遵守)하였고 문장(文章)의 재능(才能)과 례법(禮法)을 행함에 있어서 도의(道義)를 바탕으로 자세를 확립(確立)하였으며 名分과 절의(節義)를 중히 여겨 이러한 풍토를 조성하고 일으켰다고 하니 中宗께서 가납(嘉納)하시어 중학훈도(中學訓導)로 특별(特別)히 제수(除授)하고 이어 사읍(四邑)의 훈도(訓導)를 력임(歷任)하도록 하였다. 광양(光陽)과 곡성(谷城)에서 훈도(訓導)로 계실때 진사인(眞舍人) 가숙(家塾)의 규훈(規訓)을 벽에 걸어놓고 보도록 하여 생도(生徒)들을 가르쳤으며 남평(南平)과 순창(淳昌)에서 訓導함에 있어서는 주자(朱子)의 학칙(學則)을 기준(基準)으로 날로 강습(講習)시키고 장려(奬勵)하여 진취(進就)케 하였으며 평소 거처(居處)하는 방에는 백록동교(白鹿洞敎)를 낱낱이 써서 게시(揭示)하여 학자(學者)가 강론(講論)하고 밝히고 준수(遵守)하는 자료(資料)로 삼도록 하였다. 하서(河西) 김선생(金先生)이 이 고을 옥과현감(玉果縣監)으로 계실때 시례(詩禮)를 토론(討論)하여 도움이 컸었고 주변에서는 경전(經傳)을 탐구(探究)하여 깊은 장탄(奬歎)을 입었다. 호수(湖水)위에 한 정자를 짓고 함허(涵虛)라 현판하였으며 심신(心身)을 갈고 닦은 장소(場所)로 삼았고 손수 詩를 지었는데 산수(山水)의 아름다운 경치를 題目으로 하여 그가 산과 물을 즐기는 뜻으로 自然과 이치(理致)를 벗하였음은 고고(孤高)한 기상(氣像)과 청아(淸雅)한 취미(趣味)가 있다 하겠다. 재종형(再從兄)인 좌참찬(左叅贊) 둔암공(鈍庵公) 광언(光彦)이 일찍이 本道의 방백(方伯)으로 이곳 정자에 이르러 주변 山水의 아름다운 경치를 보고 말하기를 옛시에 이 江山은 3公과도 바꾸지 않는다 함은 이를 두고 하는 말이 아니냐 하였으며 그러나 그대는 名門家의 子孫으로서 한낱 훈도(訓導)로 강호(江湖)에서 여생(餘生)을 마치려 하는가 하고 출사(出仕)할 것을 권(勸)하였으나 웃으시고 불응하였으니 이는 을사사화(乙巳士禍)의 선견지명(先見之明)이 있는 연유도 있다. 명종경술(西紀1550年) 4月 23日 병으로 정침(正寢)에서 별세(別世)하시니 享年 41이요 이와같은 슬픈 소식이 전해지자 원근(遠近)의 사림(士林)이 비통해 하였으며 같은해 六月에 본 고을 동쪽 찬마봉(天馬峰)아래 손좌(巽坐)에 장례(葬禮)를 모셨다. 배위(配位)는 창원정씨(昌原丁氏)인데 縣監인 관(灌)의 따님으로 生卒年이 모두 전해오지 않으며 장례(葬禮)는 魯人(孔子=卽 儒敎)의 禮로 하였다. 3兄弟를 두니 기(錡) 종(鍾) 정(鉦)인데 다 어질어 누대(屢代)로 내려온 가훈(家訓)을 지켰다. 기(錡)는 군자감 직장(軍資監 直長)으로 叅奉 권기(權芑)의 따님을 부인으로 맞이하여 1男2女를 두었는데 아들 언겸(彦謙)은 가선대부(嘉善大夫) 동중추부사(同中樞府事)를 지냈으며 長女는 주부(主簿)인 최진(崔震)에게 출가하고 次女는 선비인 오간(吳諫)의 妻이다. 종(鍾)은 광릉참봉(光陵叅奉)으로 달성서씨(達城徐氏)를 맞이하여 兄弟를 두었는데 長男 지겸(知謙)은 部將이고 次男 명겸(明謙)은 군자감 주부(軍資監 主簿)이다. 정(鉦)은 종묘서(宗廟署) 直長인데 집의(執義)인 咸安 김조(金祚)의 따님을 아내로 맞아 五兄弟를 두었는데 長男은 이겸(怡謙)이요 2男은 수겸(受謙)이며 3男은 민겸(敏謙)인데 號가 두암(杜菴)으로 임신왜란(壬辰倭亂)때 의병(義兵)을 일으켰으며 예빈시(禮賓寺) 주부(主簿)로 제수(除授)되었고 丁丑(西紀1637年)에 淸國과 화전양론(和戰兩論)이 있었을 때 公은 오랑캐와의 강화(講和)는 있을 수 없다 하여 척화(斥和)의 상소(上疏)를 올렸다. 이와같은 충의(忠義)와 학덕(學德)을 추모(追慕)코자 사림(士林)은 羅州의 충장사(忠莊祠)와 玉果의 구암사(龜巖祠)에 配享하였다. 4男 태겸(泰謙)은 일찍이 別世하고 五男 사겸(思謙)은 才行이 있었으나 역시 早卒하였다. 曾孫 민헌(民獻)은 선무랑(宣務郞)이요 민각(民覺)은 號가 구암(龜巖)인데 현감(縣監)으로 甲子年 이괄란(李适亂)에 어가(御駕)를 호종(扈從)하였고 丙子胡亂(西紀1636年)에 淸나라와의 강화(講和)를 반대(反對)하였으며 구암사(龜巖祠)에 배향(配享)되었다. 민백(民伯)은 壽로 가선대부(嘉善大夫)가 되고 원철(元哲)은 부장(部將)이요 일해(一海)는 무과(武科)에 입신(入身)하여 선전관(宣傳官)이 되고 의경(義卿)은 군자감정(軍資監正)이며 민의(民義)는 壽로 통정대부(通政大夫)가 되었다. 玄孫 지섭(之涉)은 통덕랑(通德郞)이며 지철(之澈)과 지윤(之潤)은 承議郞이고 지완(之浣)은 통덕랑(通德郞)이요 영발(英發)은 통정대부(通政大夫)가 되고 사영(思泳)은 첨정(僉正)이며 홍제(弘濟)는 판결사(判決事)이고 지호(之灝)는 통정대부(通政大夫)이다. 이로부터 子孫이 점점(漸漸) 번창(繁昌)하여 세하(世夏)는 進士이고 세원(世元)은 주부(主簿)이며 세일(世日)과 세중(世重)은 生員이다. 세웅(世雄)은 무과입신(武科入身)하여 司直이 되고 세형(世亨)과 세명(世明)은 가의대부(嘉義大夫)요 세현(世賢)은 僉正이고 세발(世發)과 세연(世連)은 嘉善大夫가 되고 학( ![]() 先祖가 끼쳐주신 음덕(蔭德)으로 영예(榮譽)를 이어받아 代代로 벼슬이 끊어지지 않고 世上에 들추어져 번창(繁昌)하였도다. 先生은 타고난 성품이 깨끗하고 바르며 뜻은 오로지 한가지 뿐이었으며 시문(詩文)과 례도(禮道)가 밝은 집에서 낳고 자라면서 효우(孝友)의 道를 돈독히 행하였다. 父母의 상(喪)에 계속 6年동안 여막(廬幕)에 살면서 하루도 빠짐없이 세번이상 墓를 살폈고 15年間을 講學하면서 경사(經史)의 바른 리치(理致)를 관통(貫通)치 않음이 없었으므로 그때 사람들이 제호(霽湖)선생이라 불렀는데 先生의 자호(自號)이기도 하고 호상(湖上)의 제호정(霽湖亭)에 소요(消遙)하여 속세(俗世)를 떠나 모든 시름을 잊고 학덕(學德)을 쌓은 곳이기에 그 흔적이 남아 있다. 只今도 호명(湖名)과 洞名을 제명(霽名)을 제호(霽湖) 제동(霽洞)이라 한 것은 이때부터 비롯된 것이다. 오호(嗚呼)라! 옛적에 수양산(首陽山)과 율리촌(栗里村)이 백이숙제(伯夷叔齊)와 도연명(陶淵明)을 얻음으로 그 지명(地名)이 더욱 현저하게 나타났으며 오늘에 제호(霽湖)와 제동(霽洞)은 先生의 號를 따라 世上에 널리 알려져 비록 오랜 세월이 흐른 뒤이나 많은 사람들에 구전(口傳)되고 있다. 그럴진대 사람을 얻어 나타난 地名은 그 號를 따라 地名이 되어 世上에 뚜렷이 나타난 것만 못하다 하겠으니, 아! 훌륭한지고 사림(士林)이 추모(追慕)하고 공의(公議)가 제발(齊發)하여 正祖己未(西紀1799年)에 본 고을 그 분의 장구(杖屨)가 머물렀던 제동(霽洞)에 구암사(龜巖祠)를 세워 망세정(忘世亭)과 함께 배향(配享)하였다. 先生의 장록(狀錄)과 유집(遺集)은 누차(屢次) 병란(兵亂)을 겪어 소실(燒失)되고 유출되어 전함이 없으니 통한(痛恨)이라 아니할 수 없다. 읍지(邑誌)에 실려 있는 바와 호남(湖南)의 삼강록(三綱錄)과 선배(先輩)의 소록(所錄)을 참조(參照) 고증(考證)하여 전말(顚末)을 약술(略述)하노라.
西紀1906年 丙午 11月 11日 |